닫기

- (사)한국화재조사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게시판

제목 트리즈란?
작성자 김만건 등록일시 2006-09-21
첨부파일
트리즈란?
1. 용어정의
Triz(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트리즈): 창의적 문제해결이론
2. 혁신용어 이론해설
국내 대기업들이 트리즈를 통해 성과를 내고 있다. 트리즈는 창의적 사고를 중시하는 경영혁신의 기법으로 통계를 중시하는 6시그마 혁신에서 창의적 아이디어 발견의 부족함을 극복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영품질 혁신의 차별적 경장우위확보에도 창의성이 화두가 된 것이다.
똑똑한 사람은 경험이 없는 질문을 받아도 답을 쉽게 찾아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해답을 창의적 문제해결이론 트리즈(Triz: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에서 찾을 수 있다. 트리즈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이론이란 의미로 러시아에서 탄생했다.
트리즈는 문제를 왜 문제라고 하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하고 선택이 왜 어려운가를 연구하며 창의적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재들이 생각하는 논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수재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1) 모순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혁신
트리즈의 특징은 표준문제 모순 시스템사고 이상성 기술진화의 다섯 가지다. 이 가운데 표준문제와 모순이 핵심이다. 표준문제라 함은 이 세상에 새로운 문제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문제는 표준문제가 전공과 시간에 관계없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모순이라는 상반되는 요구가 있을 때 이를 타협하지 말고 분리하라는 것이다. 즉 혁신은 모순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정의하고 있다. 물리적 모순은 시간·공간·조건으로 분리해 해결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적 모순을 해결하는 원리는 40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분할 추출 국부적 품질 비대칭 통합 등이다. 분할은 나누어 사용해본다 추출은 필요한 것만 뽑아내 본다 국부적 품질은 반드시 전체를 똑같이 할 필요는 없다 대칭은 대칭이라면 비대칭으로 해본다 통합은 한 번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한다 등을 의미한다.
2) 창의성 높이는 구체적인 기법
이 같이 트리즈는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기법이다.
이에 6시그마나 가치혁신 전략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6시그마는 통계적 방법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최적화하는데 큰 효과가 있지만 한편 문제를 풀어내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구체적인 방법론으로서는 약한 면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창의적 문제해결의 표준화된 툴인  트리즈를 통해 경영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998년부터 트리즈를 도입해 비용절감과 획기적 제품을 개발해왔다. 현재 러시아의 트리즈전문가가 활동하고 있으며 트리즈온라인 강좌를 필수적으로 듣게 하고 있다. 2006. 5월에는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7개 계열사가 삼성트리즈협회를 결성하기도했다. 이는 기술경쟁력이 중요해진시점에서 창의적 사고에 도움을 주는 트리즈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3) 글로벌 경쟁력 확보 혁신기법
국내의 트리즈 활용은 주로 전자산업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삼성과 LG의 트리즈도입과 활용이 관련 기업들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눈에 보이는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자동차산업분야의 활용은 눈에 띄지 않는 실정이다. 게다가 한국에는 1995년 LG가 최초로 도입한 후 10년이 지났지만 다른 혁신기법처럼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현대적인 간소화된 이론보급의 미흡 폭넓은 지식을 통해 타 혁신 기법과의 연계를 추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부족 등을 주요인으로 꼽고 있다. 하지만 트리즈는 한국이 저임금 저단가로 밀어 붙이는 중국과 품질과 기술이 뛰어난 선진국들의 틈바구니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기법으로써 활용할 가치가 높다고 추천하고 있다.
4) 트리즈의 탄생 배경
트리즈는 1946년 러시아 해군의 특허심사관이었던 겐리히 알츠술러에 의해 시작됐다. 그는 특허를 심사하면서 전공과 시간에 무관한 표준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화학분야의 특허와 기계분야의 특허가 동일한 유형의 문제를 취급하고 동일한 해답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찾은 것이다. 그래서 그는 특허청 자료 4만 건을 추출 40가지의 발명원리를 정리했다. 즉 다른 분야의 지식도 내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사상이 만들어진 것이다. 세분화 전문화로만 발전하던 현대 기술철학에 대한 근본적 사고의 변화였다.
출처: Chief Executive Volume 45 August 2006 90Page에서







이전글  ▲ 신간서적출판 안내
다음글  ▼ 혼자 있을 때 자기 자신의 심폐소생술
닫기